법인개인사업자

법인개인사업자 차이와 적절한 전환 시기는?

개인사업자, 법인사업자 차이점은?

개인사업을 하시는 분들 중 법인전환을 고민하시는 분들이 상당수입니다. 

고민에 앞서 개인사업자와 법인사업자의 차이에 대해 먼저 숙지하셔야 할 텐데요. 가장 큰 차이는 세 부담일 것입니다. 

개인사업자의 경우 최대 45%의 소득세율을 적용받는 것에 비해 법인사업자는 최대 25%의  법인세율을 부과받기 때문에 세 부담이 크게 줄어들게 됩니다. 

이러한 차이에 따라 법인전환을 택하시는 개인사업자분들이 많죠. 개인사업자의 법인전환이란 사업리스크와 세 부담을 줄이기 위해 개인기업이 경영의 권리와 의무를 법인(法人)으로 변경하는 것을 말합니다.

법인사업자 개인사업자

법인전환, 언제가 적절할까?

오늘은 특히 개인사업자에서 개인법인으로 전환해야 할 적절한 시기에 대해 함께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개인사업자였다고 하더라도 반드시 개인법인으로 전환을 해야 할 시기가 반드시 옵니다. 이런 시기가 왔다면 사실상 사업 운영이 성공적으로 진행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첫 번째 지표는 바로 매출 증가입니다. 

매출이 증가한다는 건 곧 그에 따른 세금 역시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경우 세금 부담이 법인사업자보다 훨씬 더 높아질 수 있는 것이 바로 개인 사업자의 상황입니다. 

이를 대비하고자 한다면 개인법인으로 전환하는 방법을 택하는 것이 현명할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는 사업의 확장이나 투자 유치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입니다. 개인사업자의 경우 자율적으로 자금관리 및 운용을 하고 있기에 공개를 해야 할 의무가 없어 투명성이 매우 적습니다. 하지만 투자를 받고자 할 경우라면 달라지는데요. 투자자는 매출 흐름 등의 자금 상황에 대해 투명하게 알고 싶어하는 욕구가 큽니다. 법인 사업자의 경우는 모든 매출 흐름 등이 투명하게 공개될 수 있어 오히려 투자 유치를 하는데 매우 유리하게 작용을 할 수 있지요. 

법인전환

일반양수도vs포괄양수도 당신의 선택은?

법인개인사업자 전환을 결정했다면 일반양수도와 포괄양수도를 통해 전환할 수 있습니다. 일반양수도는 운영하던 개인의 사업체를 정리하고 폐업 처리를 한 후에 신규 법인을 설립하는 과정입니다. 

포괄양수도는 법인 설립을 한 후 개인 사업체를 포괄 승계함으로 전환하는 과정입니다. 

그냥 단순하게 보더라도 후자의 경우가 훨씬 복잡합니다. 법인설립 후에도 세무사를 통한 포괄양수도 계약서 작성까지 진행하는 과정이 필요하고요. 

그렇기에 당장 법인전환을 하겠다는 마음을 먹었다고 하더라도 절차와 진행 방법에 대한 고민이 클 수밖에 없습니다. 이럴 때는 전문가와 상의를 통해 구체적인 방법과 시기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S컨설팅에서는 법인전환 관련해 기업에 따른 맞춤 솔루션을 제공해드리고 있습니다. 상담부터 사후관리까지 전문가로 구성된 원팀, 원스톱서비스를 통해 믿고 맡길 수 있는 컨설팅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법인개인사업자 전환 시기와 방법이 고민된다면 주저 마시고 PS컨설팅으로 문의 주세요!